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클릭
- GDC
- 형변환
- 샌프란시스코
- 집합의 연산
- Chart
- scaleform
- 플래시
- 수학정석
- flash player 10
- as3.0
- DataBinding
- KGC 2013
- 태그클라우드
- Document Class
- 애드온
- scaleform4
- 스케일폼
- flash cs3
- flash
- autodesk
- as2
- scaleform3
- MMOKit
- CLIK
- 강좌
- as3
- ApplicationDomain
- addChild
- watch
- Today
- Total
목록스케일폼 (68)
scaleform.minarto.com
scaleform.clik.controls.Button class 부터 보겠습니다. 사실 이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플렉스의 Button Component 와 크게 다를 것은 없습니다. 다른게 있다면... 1. 라이브프리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2. Sprite 가 아닌 MovieClip 을 상속받습니다. 3. 몇몇 속성과 메소드가 없습니다. 4. 몇몇 속성과 메소드 이름이 다릅니다 5. 게임 UI에 활용하기 위한 몇몇 속성과 메소드가 추가되어있습니다 6. 몇몇 속성과 메소드는 이름은 같지만 사용되는 방법이 다릅니다. Inspectable 메타태그로서 Flash IDE 에 노출되는 속성값만 살펴보겠습니다. Flash IDE 에는 component parameters 라고 쓰여져있는 판넬에 있습니다. 참고를..
전에 포스팅했던 Tween 성능 비교 글에서 CLIK 을 고려해봐야 한다는 말을 했습니다. 저도 사실 CLIK 을 안썼습니다. 정확히는 제가 플렉스는 경험이 없는데다가, 컴포넌트는 느려...라는 생각에 멀리하다보니 컴포넌트는 거의(한번도) 써보지를 않았습니다. 하지만 게임 업계에서 UI를 만들다보니 좀 생각이 바꼈습니다. 계속해서 UI를 엎어야 하거든요...ㅡ.,ㅡ;;; 이런 상황에서 빨리 잘(정확히는 나쁘지 않게) 만들 수 있는데 왜 안쓰나입니다. 그래서 클릭에 관한 글도 조금씩 올려보려 합니다. 클릭은 (click 이 아니랍니다) 스케일폼에서 제공하는 UI component 들을 말합니다. 3.0 대의 클릭은 gs스키너 그룹에서 만들어 제공했는데, 4.0 대도 그런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일단 시작하기..
0. 아~ 쿨타임 어려워요 스케일폼 코리아 카페에 들어갔더니, 쿨타임 그리는 것에 대한 질문이 올라왔더군요... 거기에 몇몇 분들의 덧글들이 답변으로 달려있긴 한데... 여기에 대해서 한번 정리해 볼 필요가 있어보여서, 포스팅을 해봅니다... 1. 쿨타임이란? 일반적으로 게임에서 쿨타임이라 하면, 반투명한 사각박스 형태의 그래픽이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없어지는 애니메이션을 말합니다. 물론 애니메이션(혹은 이펙트)에는 수십/수억가지가 존재할 테지만, 그런 것들은 이 포스팅의 목적인 "런타임에 그려보자" 와 무관해지니 논외로 치겠습니다... 뭐, 당연히 삼각함수 알아야 합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플래시에서 사용하는 cos 과 sin 함수 외에 tan 함수를 써야합니다... 그러니 조금은 각오(?)를 해두시고 ..
1. 스케일폼은 플래시와 달라요 플래시 웹앱 환경과 scaleform 의 환경은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첫째, http 통신을 할 수가 없다 둘째, 기본적인 키보드와 마우스 왼쪽 버튼 이벤트 말고도 여러 인터랙션이 있다. 세째, 가상폴더에서 실행된다...(udk 기준입니다... 다른 엔진도 그런지는...)...그렇기에 절대 경로를 찾기 어렵다. 이외에도 여러가지 제한이 있고, 반대로 추가적인 기능들이 있지만 일단 이렇습니다... 스케일폼에서 제공하는 scaleform.gfx.* 패키지를 보면 많은 클래스들이 있습니다. 이는 스케일폼의 여러 확장기능들을 이용하게 하기 위한 클래스들입니다. 다른 것은 둘째 치고 일단 Extensions.enabled 함수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멤버변수가 아닌 set/..
새해 첫 포스팅입니다... 뭔가 야심차게 한번!!! 서로 문제 없이 프로그래밍을 했는데 문제가 있다??? 클라이언트와 통신으로 숫자를 주고 받던 도중 이상한 값들이 들어와서 한동안 헤맸던 적이 있습니다... 아무리 확인해도 애초에 잘못된 값이 들어오는데, 클라이언트는 아무리 확인해도 제대로 된 값을 던져줬다는 것이지요... 이것이 다 서로의 언어에 대한 몰이해에서 시작된 것입니다... Number, int, uint 플래시에서는 이렇게 세가지의 숫자 타입을 가지고 있습니다 uint 는 32bit 형의 정수형이고, int 는 32bit의 부호가 있는 (음수, 양수) 정수형입니다... 그러다 보니, int는 부호에 1bit를 나눠주느라 31bit (2^31 - xor 연산자 말고 승수요) 만을 사용합니다....
http://www.minarto.com/303 에 이어진 내용입니다. 제가 외부 Tween 라이브러리 말고 scaleform 4.x 에서 제공하는 트윈을 사용하라고 했는데요... 바로 scaleform.clik.motion.Tween 요녀석입니다.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죠... 간단한 테스트 결과입니다 매 frame 마다 무비클립과 트윈을 생성해 좌표와 alpha 를 변하게 하는 간단한 테스트를 하였습니다... (귀찮으니 전 안합니다... 시켜야죠 ㅎㅎㅎ) TweenLite 와의 확연한 성능차가 보이십니까... 그 이유는 Tween 클래스를 열어보면 바로 알 수 있느데요... 이녀석은 독특하게 매트릭스 객체를 이용합니다. 왜냐 하면, scaleform 4.x에서 matrix 는 GPU를 타기 때문입니다...
플래시에서 이미지를 불러오는 방법이야 간단합니다... var loader:Loader = new Loader(); var info:LoaderInfo = loader.contentLoaderInfo; info.addEventListener(Event.COMPLETE, onComplete); var request:URLRequest = new URLRequest(); request.url = 경로; loader.load(request); function onComplete($e:Event):void{ var info:LoaderInfo = $e.target as LoaderInfo; var bm:Bitmap; = Bitmap(info.content); addChild(bm); } as2 라면 다음과 같겠죠..
오랜만의 다시 스케일폼 관련 포스팅이네요... 몇일전 스켈폼이 비전엔진과의 통합을 발표했습니다. 유니티도 한참 통합을 하고 있고요..(라이센스 방식은 어찌 될지 모르겠습니다) 겜회사에서의 일자리는 점점 더 넓어지는 가운데 도움되는 글이길 바라며... 1. 형 변환 아시다시피 as2에서는 new DisplayObject 로 DisplayObject 가 객체로 생성이 되질 않고, 아시다시피 다음과 같이 해야합니다 var instance:Class = Class(attachMovie(linkage id:String, instance name:String, instance depth:Number)); attachMovie 의 리턴값이 무비클립이기 때문에 해당 Class로 형변환을 해줘야만 해당 Class 의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