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LIK
- scaleform4
- autodesk
- 형변환
- Document Class
- as3.0
- 집합의 연산
- 플래시
- scaleform3
- watch
- 스케일폼
- scaleform
- flash cs3
- 샌프란시스코
- ApplicationDomain
- 애드온
- addChild
- 태그클라우드
- GDC
- as3
- as2
- MMOKit
- 클릭
- KGC 2013
- Chart
- flash
- 강좌
- 수학정석
- DataBinding
- flash player 10
- Today
- Total
목록ActionScript (104)
scaleform.minarto.com
신입 팀원들을 갈구는 재미에 코드 리뷰해주면서 태클걸다가 마침 얘기가 나온 것인데... 블로그에 한번 옮겨봤습니다. UI 또는 드로잉 클래스개발시 삼각함수는 매우 다양한 곳에 쓰입니다. 그런데 개발시에 쓰이는 코드는 일반 수학에서 쓰이는 것과 조금은 다릅니다. 보통 수학에서 θ 각도 상에 선분의 길이가 radius 이라면 좌표의 x 값은 sin(θ) * radius, y 값은 cos(θ) * radius 라고 합니다. 플래시에서 삼각함수를 쓰려면 x = Math.sin(θ * Math.PI / 180) * radius y = Math.cos(θ * Math.PI / 180) * radius 라고 씁니다... 바로 θ * Math.PI / 180 이녀석이 차이가 생기는데, 라디안 값으로 변환시키는 거라고 ..
scaleform 관련 글이라기 보다는 flashdevelope 글입니다만, 이녀석 때문에 수시간 삽질을 했었습니다. 클래스를 만들고 아무리 import 를 해도 클래스가 없다고 나오는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전 제가 as2 사용법을 잘못 알고 있나 싶어서 계속 이것저것 찾아봤드랬죠. 그런데 나중에 알고 보니 Flashdevelop 의 문제였습니다. 신규로 생성한 파일에 한글 주석을 달면 위와 같은 오류가 나는 것이었죠. 그런데 이미 생성되있던 문서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한글 문제가 아니다 싶어서 다른 문제점을 찾아보느라 삽질을 한것이었죠... 결국 수시간 테스트 하다가 한글 주석의 문제란걸 알게됬고,http://blanedil.tistory.com/entry/FlashDevelop-%ED..
http://cafe.naver.com/flashactionscript/60225 토요일에 세미나에 다녀왔습니다. 사실 언제부턴가 세미나는 잘 안가는 편입니다. 제품발표회 성격의 세미나는 말할 것도 없고, 일반적인 기술 세미나도 차라리 웹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이 더욱 많기 때문입니다. 제가 세미나를 가면, 그날 하루 회사를 쉬기 위해서이거나 사람들을 보러 간거였죠... 그러나 대외활동(?)을 한지도 너무 오래되기도 해 나갈 마음이 생겼고, 마음에 드는 주제를 발견했기에 참여를 했습니다. 그건 바로 2, 3주제인 클린코드입니다. (3주제는 제목은 클린코드는 아니지만...) 제가 프로그램은 배운 적이 없는 마시마로/졸라맨 등을 통해 나타났던 양산형(?) 애니메이터 출신이다 보니 신기술보다는 늘 기초에 목..
http://code.google.com/p/minarto-flashas3-libs/source/browse/trunk/src/com/minarto/display/pixelBender/alphaBlend/AlphaBlendJobContainer.as 라이브러리 정리 및 만들던 중 예전에 히카님 글이 기억이 나서 만들었다... 그럭저럭 돌아가는 듯 하나... 퍼포먼스 테스트는 안했다... 실무에 쓰려면 좀 더 다듬어야 할 듯... mouseChildren 을 이용해 자식객체들 마우스 이벤트 관리도 만들어야 하고... p.s. 좀 전에 올렸다가 비동기 모드에 버그가 있어서 비동기 모드를 빼고 다시 올렸다... p.s.2. r39 자로 마우스 이벤트 발생하도록 수정... 덕분에 오브젝트별로 alpha > 0...
http://lab.polygonal.de/2010/11/01/fast-hash-tables/ 회사에서 소스정리를 하던 중이라(덕분에 올만에 폭풍 포스팅을...) 사용하던 외부라이브러리들의 사이트를 몇군데 들어가 봤는데, ObjectPool 을 만든 위 사이트에 해시테이블을 만들어 놨다.... Dictionary 와의 벤치마크를 보면, 플래시 블로그 단골 포스팅인 퍼포먼스 비교 글 들에 왜 해시테이블 얘기가 심심치 않게 나오는지 알 수 있다... 뭐, 내가 만든 것도 아니니 잡설은 여기까지.....
http://minarto-flashas3-libs.googlecode.com/svn/trunk/src/com/minarto/openApi/google/shortURL/ShortURL.as 구글코드 호스팅이 의외로 쓸만하다는걸(속도면에서) 깨닫고 개인 라이브러리들을 올려놓고 있는 중... 뭐에 쓰는 놈일 지는 눈치만 있음 금방 알게 됨... 공개용으로 만든 코드들이 아니고 정말 개인 개발용으로 올린 코드들이니 나머지 코드들은 보지 마셈 쪽팔림...
http://jpub.tistory.com/113 서점에 아직도 MX 책이 꽂혀져 있는 현실을 생각해볼 때, 엄청난 책이 나온듯 하다. 그것도 번역서가 아니란다!!! 커뮤니티에 가보면 초보 유저들의 어떤 책을 봐야 하나요... 라고 묻는 질문들이 많다. 간단하다 한빛 출판사 출신 레퍼런스... 신명용씨 책, 그리고 이 책... 아니다... 이 책은 좀 어려우려나...
점점 강도가 쎄질 거임... 에어 2.04 버전 공개 (별건 없음) http://get.adobe.com/kr/air/ 안드로이드용 에어 정식버전 공개 http://www.zdnet.co.kr/Contents/2010/10/11/zdnet20101011100156.htm 애플 ios용 개발툴 제한 완화 http://www.zdnet.co.kr/ArticleView.asp?artice_id=20100928083140 64bit용 플래시 플레이어 (코드명 스퀘어) 공개 http://labs.adobe.com/technologies/flashplayer10/ MS 어도비 인수설 http://www.idg.co.kr/newscenter/common/newCommonView.do?newsId=62759 특히 마지..
flash player 10 에서 비트맵 데이터는 8192 픽셀을 넘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어쩌다보면 그 이상의 이미지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생기지요 그럼 노가다로 일일히 자르는 작업을 하게 되는데, 그러지 않기 위해 만든 코드입니다... 우선 첨부한 클래스와 다음의 링크에서도 코드를 다운 받아주시고요 http://code.google.com/p/as3-jpeg-decoder/ 첨부한 클래스는 제가 작성한 거지만, 위의 구글 코드는 저와 관련이 없습니다... 알케미를 이용한 듯 싶기도 한데... 정확히는 뒤져보질 않아서리... 원리를 설명하자면 제 코드에서 바이너리 형식으로 jpg를 부르고 jpg 디코더로 디코딩을 하여 픽셀값을 가지고 있게 되고 다시 제코드로 넘어와 원하는 영역(Rectangle..
워크샵을 다녀온 요몇일 트위터에서는 아이폰의 국내 출시와 아이패드의 발표로 인해 플래시 업계가 조금 어수선했던 듯 하다... 이런식으로 어도비의 플래시를 MS의 액티브X 와 배다른 형제뻘로 몰아가는 분위기가 될 줄은 몰랐으나 어쨌든 보고 있자니 구글 MS 애플의 기사거리로만 도배할 줄 알았던 트위팅에 뜬금없이 어도비가 낀 것도 재미있는 일이다(그렇게 뜬금없는건 아니지만 말이다) 글쎄... 내 생각은 사람들의 포인트가 뭔가 잘못 꽂혀있다는 것이고 여차저차해서 하늘이(?) 무너지더라도 내가 플래시 개발자에서 은퇴할 때까지는 밥먹고 사는데 별 어려움이 없거나 최소한 다른거 공부할 충분한 시간이 있을거란 거다... :) 게다가 우리에게는 안드로이드도 있지 않은가!!! 우리가 안드로이드가 실린 냉장고나 TV의 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