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addChild
- 강좌
- scaleform4
- 샌프란시스코
- 수학정석
- autodesk
- DataBinding
- 애드온
- as3
- Document Class
- GDC
- Chart
- watch
- 태그클라우드
- 클릭
- MMOKit
- flash cs3
- scaleform3
- as3.0
- CLIK
- 형변환
- flash
- ApplicationDomain
- scaleform
- as2
- 집합의 연산
- 플래시
- 스케일폼
- flash player 10
- KGC 2013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삼각함수 (1)
scaleform.minarto.com
플래시 개발시에 자주 쓰이는 산수 또는 수학들 1 - θ * Math.PI / 180 의 의미...
신입 팀원들을 갈구는 재미에 코드 리뷰해주면서 태클걸다가 마침 얘기가 나온 것인데... 블로그에 한번 옮겨봤습니다. UI 또는 드로잉 클래스개발시 삼각함수는 매우 다양한 곳에 쓰입니다. 그런데 개발시에 쓰이는 코드는 일반 수학에서 쓰이는 것과 조금은 다릅니다. 보통 수학에서 θ 각도 상에 선분의 길이가 radius 이라면 좌표의 x 값은 sin(θ) * radius, y 값은 cos(θ) * radius 라고 합니다. 플래시에서 삼각함수를 쓰려면 x = Math.sin(θ * Math.PI / 180) * radius y = Math.cos(θ * Math.PI / 180) * radius 라고 씁니다... 바로 θ * Math.PI / 180 이녀석이 차이가 생기는데, 라디안 값으로 변환시키는 거라고 ..
ActionScript
2011. 10. 14. 2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