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ApplicationDomain
- flash cs3
- as3
- Document Class
- flash player 10
- 집합의 연산
- watch
- addChild
- Chart
- 태그클라우드
- GDC
- scaleform4
- 애드온
- 스케일폼
- MMOKit
- CLIK
- 플래시
- flash
- 강좌
- DataBinding
- scaleform3
- KGC 2013
- as3.0
- 클릭
- 수학정석
- scaleform
- 형변환
- autodesk
- 샌프란시스코
- as2
Archives
- Today
- Total
scaleform.minarto.com
클로저 (Closure) 0 본문
앞선 포스팅에서 실행 메모리 영역에 대해서 말했습니다... 다른 말로 클로저 영역이라고 합니다.
js
a = function (b){
var c = 2;
var d = function (e){
var f;
var f;
alert(c);
}
d();
}
a();
as2
a = function (b){
var c = 2;
var d = function (e){
var f;
var f;
trace(c);
}
d();
}
a();
이런 함수를 만들면 둘 다 2 가 출력됩니다. alert 함수가 trace 함수로 바꼈을 뿐, 보시다시피 코드는 똑같습니다.
어떻게 2가 출력되었는지 살펴볼까요??
얼핏보면 a 란 함수를 실행하면 a 함수 내부에 선언된 d 함수가 실행됩니다.
d 함수 내부에는 c를 출력하여야 하는데, d 함수 내부에는 어디에도 c라는 변수가 없습니다... 인자에도 없고 함수 내부에 지역변수로 선언되어 있지도 않습니다.
그러면 d 함수가 실행되고 있는 영역인 a 함수를 찾아올라갑니다. 그 안에는 c와 d가 변수로 들어있고, b가 인자로 들어있지요... c를 찾았네요??? c란 변수가 참조하고 있는 2 값을 출력합니다...
d 함수를 실행하는 순간 vm에서는 앞서 말했듯 실행메모리 영역을 만들어냅니다.
e 가 들어오는 arguments 객체가 있고, var 로 선언된 f 가 있습니다. (사실 생략된 this도 설명해야 하는데, 이건 나중에...)
이런 메모리 테이블 공간이 만들어지는겁니다.
마찬가지로 a 함수에도 b로 들어온 arguments 객체가 있고, c, d 로 선언된 지역변수 메모리 테이블이 있겠죠...
어쨌든 d의 메모리 테이블이 만들어지고 나면 이제 한줄씩 한줄씩 작성되어져 있는 구문을 실행하는 겁니다
alert / trace 로 c를 출력해야 하는데 해당 메모리 테이블 공간에 c 가 없습니다...
그러면 이때 해당하는 변수가 정의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undefined 를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함수 d가 실행된 메모리 영역인 a 의 메모리 테이블을 검색합니다
c를 찾았네요? c가 가르키는 값은 2를 출력합니다...
이런 연쇄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 영역을 클로저라고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도 없다면?...
참조해볼 사이트
http://js.bsidesoft.com/
http://www.diebuster.com/flash/82
http://blog.naver.com/kjhbond/50129536282
참조해볼 서적
http://insightbook.springnote.com/pages/1109998
http://insightbook.springnote.com/pages/8500578